네트워크 3

DNS (Domain Name System)란?

1. DNS 개념 및 필요성 DNS(Domain Name System)는 IP 주소와 도메인 이름을 매핑하는 시스템이다. 즉,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도메인 주소(예: www.google.com)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IP 주소(예: 142.250.190.46)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 DNS의 필요성✔ 사람들이 기억하기 쉬운 주소(도메인)로 웹사이트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함✔ 네트워크 성능 향상 (DNS 캐싱, 로드 밸런싱 등)✔ IP 주소가 변경되더라도 도메인 주소를 유지할 수 있어 유연한 관리 가능 📌 DNS 작동 방식 예시1️⃣ 사용자가 브라우저에서 www.naver.com 입력2️⃣ DNS 서버가 www.naver.com의 IP 주소를 조회3️⃣ 해당 IP 주소(예: 223.130.200..

컴퓨터공학 2025.03.12

TCP vs UDP: 차이점과 사용 사례

1. TCP와 UDP란?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와 UDP(User Datagram Protocol)는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대표적인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프로토콜이다. 각 프로토콜은 데이터 전송 방식과 신뢰성, 속도 등에서 차이가 있으며, 인터넷과 네트워크 통신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 TCP: 신뢰성이 중요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연결 지향(Connected) 프로토콜✅ UDP: 빠른 속도가 중요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비연결(Connectionless) 프로토콜 📌 TCP vs UDP의 차이점 한눈에 비교 특징TCP (연결 지향)UDP (비연결 지향)연결 방식3-Way Handshake 방식으로 연결 설정 후 데이터 전송연결 없..

컴퓨터공학 2025.03.12

OSI 7계층과 TCP/IP 모델 개념 정리

1. OSI 7계층이란? OSI 7계층(Open Systems Interconnection Model)은 네트워크 통신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단계별로 정리한 표준 모델이다. ISO(국제 표준화 기구)가 정의하였으며, 각 계층은 독립적으로 작동하여 데이터 전송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설계되었다. ✅ OSI 7계층의 역할네트워크에서 데이터가 전송되는 과정을 7개의 계층으로 나누어 설명각 계층이 특정 기능을 담당하며 하위 계층의 기능을 활용하여 상위 계층을 지원표준화된 통신 방식을 제공하여 다양한 네트워크 장비와 프로토콜이 호환 가능하도록 설계📌 OSI 7계층 구조 계층계층 이름역할 및 기능프로토콜 예시7계층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사용자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제공HTTP, FT..

컴퓨터공학 2025.03.08